본문 바로가기

잡담...그리고 일상다반사

.............


폭력을 사용하는 권력은 이미 권력이 아니며 아무런 정당성도 없다.
그것은 권력세력이 아니라 폭력세력이다.
오히려 권력은 그런 폭력에 대항하는 자들에게 있다.
권력은 많은 사람들이 함께 토론하고 함께 행동하는 그 순간에, 바로 그곳에 존재한다.
-한나 아렌트 <폭력의 세기>에서 -

시민을 짓밟고 방패로 찍어내리고 물어서 손가락을 절단한 알량한 공권력이라는 작자들
은 더 이상 권력으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정당성, 즉 명분을 잃은 권력이 권력
으로 행세 할 수 있을까? 대중들에게 권력으로 인정 받을 수 있을까?

나는 확신하지 않고 늘 의문만을 던진다.
민족주의와 애국주의는 도구로 악용된다고 싫어하고 정의라는건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권력이라는 이름으로 시민들을 억압하는 자들을 증오한다. 그리고 나는
응원하고 있다. 그들이 옳다고 생각해서 일까? 정의도 선도 없는 나이지만 그 무언가가
나를 분노로 이끌고 다른 이들을 지지하게 한다. 알 수 없는 그 무언가가.

신념도 믿음도 없이 희망하는 나는 가장 어리석은 자중 하나가 아닐까?

*
한나 아렌트의 책이 읽고 싶다.
한나 아렌트가 읽기 쉬운 사람도 아니지만 번역의 압박도 심해서 이 책을 제대로 읽었는가
에 대해선 확신 할수 없지만 이 문장은 내 마음에 깊이 각인 되었다.
지금 내 머릿속에선 저 말이 끊임없이 배회하고 있다.
이 책도 짐 쌀때 챙겼던걸로 기억하나 공항에서 무게가
많이 나간다는 이유로 부모님이 도로 집으로 가져가신 책. 동생 올때 가져오라 할까.
아... 내일 헌책방 구경이나 가볼까.
헌책방에서 카프카와 키에르케고르를 보고 침만 흘리다 왔다.
아직 내 저질 독일어로는 버거운 책들.
하지만 내 머릿속은 이미 하이데거의 책을 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