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문닫은 상점
길게 늘어진 카페트
갑자기 말을 거네
난 중동의 소녀
방안에 갇힌 14 살
하루 1 달라를 버는
난 푸른 빛 커피
향을 자세히 맡으니
익숙한 땀, 흙의 냄새
난 아프리카의 신
열매의 주인
땅의 주인
문득, 어제 산 외투
내 가슴팍에 기대
눈물 흘리며 하소연하네
내 말 좀 들어달라고
난 사람이었네
공장 속에서 이 옷이 되어 팔려왔지만
자본이란 이름의
세계라는 이름의
정의라는 이름의
개발이란 이름의
세련된 너의 폭력
세련된 너의 착취
세련된 너의 전쟁
세련된 너의 파괴
공장 속에서 이 옷이 되어 팔려왔지만
자본이란 이름의
세계라는 이름의
정의라는 이름의
개발이란 이름의
세련된 너의 폭력
세련된 너의 착취
세련된 너의 전쟁
세련된 너의 파괴
어느 날 문득 이 옷이 되어 팔려왔지만
자본이란 이름의
세계라는 이름의
정의라는 이름의
개발이란 이름의
세련된 너의 폭력
세련된 너의 착취
세련된 너의 전쟁
세련된 너의 파괴
벌거벗은 청년이 되어
돌처럼 굳은 손을 내밀며
내 빈 가슴 좀 보라고
난 심장이었네
탄광 속에서 반지가 되어 팔려왔지만
난 심장이었네
어느 날 문득 반지가 되어 팔려왔지만
난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난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난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난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사람이었네
+ 나는 이 노래가 단지 가난한 나라의 착취와 소외된 사람들의 얘기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발전과 세계화라는 멋진 이름으로 폭력이 가해진다고 받아들였다.
+오래된 미래가 생각났다.
*
초등학생 때 교실 문고(?) 같은데 있던 '아빠 세계화가 뭐에요?'(정확한 제목은 모르겠다 대충
이런 느낌이었다)라는 책을 보며 지구촌과 다양한 문화를 가진 나라와 사람을이 친구가 된다는
아주 좋은 것으로 받아들였었다.
하지만 지금 내 눈엔 지구화는 일방적인 획일화일 뿐이다.
문명인으로써 잘 살기 위해서는 이런저런 물건들이 필요하다. 잘 사는 인간의 조건을 위해 우리
는 소비해야한다. 가난한 나라의 사람들은 잘 살기 위해 (잘 사는 나라에서 만든 물건들을)소비
해야하고, 아예 그들 처럼 되기 위해 서구의 규격에 스스로를 무리 감수하면서 맞추려 한다.
아시아의 문화가 미국과 유럽에 퍼져가지 않냐 말하겠지만 내 눈에 그들은 일부 유행 혹은
고상함을 위한 것들만 받아들일 뿐이다.
내 고향은 기술과 산업을 가진 나라가 되기위해 기술과 과학적 지식 뿐만 아니라 모든 지식,
아니 인식 그 자체를 받아들였다.
빨간 피터가 된 나와 그들이 동양 혹은 이국의 문화의 일부를 유행으로 받아들이는 건(이케아
에 있는 아시아 그릇세트, 젓가락이 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유행이다. 역에 있는 아시아 임비스
는 어디까지나 임비스 일 뿐이다) 엄연히 다르다.
가난한 나라의 경우는 그저 일방적으로 받아들여야할 뿐이다. 산업화된 비서구인 나라들이
있지만 그들은 무조건적으로 서구의 문명을 현대화 되기 위해 그냥 받아들이기만 했고 그
결과는 요상한 자태를 만들어냈다.